본문 바로가기

기술사

[법규] VE 엔지니어링 (설계공모, 기본설계 등의 시행 및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지침) 안녕하세요"느린부부"입니다.설계공모, 기본설계 등의 시행 및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에 관한 지침에서 VE (Vale Engineering)과 관련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공조설비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되셨으면 합니다.1. VE의 개념 및 정의- VE는 건축물 공사시 계획부터, 기본설계, 실시설계, 시공, 유지보수 단계에서 초기투자비와, 유지보수 비용과의 관계에서 건축물에서 필요한 최적의 기능을 발휘하며, 비용은 절감하는 엔지니어링 방식이다.-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유지비용과, 기능을 고려하여 VE를 실시 한다.2. 설계 VE 실시대상- 설계 VE 실시 대상은 아래와 같다총금액이 100억원 이상의 건설공사로 기본설계, 실시설계총금액이 100억원 이상이며 실시설계 후, 3년이후에 발주.. 더보기
[법규] '25년 1월 1일 [ZEB]제로에너지 건축물 안녕하세요"느린부부"입니다.최근 '25년 1월 1일을 기준으로 ZEB의 인증에 대한 법정 개정이 시행되었습니다.이와 관련하여 아래의 내용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공조설비를 공부하는데 있어서 조금이라도 도움이되셨으면 합니다.감사합니다.  1. ZEB 의무화 로드맵- 정부의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서 ZEB의 로드맵에 따라 '25년 1월부터 공공 건축물은 4등급, 민간 건축물은 5등급 수준으로 ZEB의무가 시행되기 시작하였습니다."" 25년 1월 기준""공공 건축물 연면적 500m2 이상, 공공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4등급 민간 건축물 공동주택 30세대 이상 5등급 기준  2. ZEB 인증 기준 [별표1]- 인증기준의 에너지 자립률 계산방법이 변경되었습니다 3. 건축물에너지관리시스템 설치기준 (BEMS)-.. 더보기
[법규] 녹색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 [별표1] 전문분야와 세부분야 관련 안녕하세요 "느린부부" 입니다.녹샌 건축물 인증과 관련하여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건 사실 입니다.이와 관련하여 각 분야별 전문분야와 세부분야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 보았습니다.**대한민국 녹색건축물 인증에 관한 규칙 [별표1] ****1. 개요**녹색건축물 인증 제도는 지속 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친환경 건축과 에너지 절약을 장려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입니다. 본 인증은 건축물의 설계, 시공, 유지 관리 단계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고, 에너지와 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촉진하며, 건강하고 쾌적한 실내 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별표1은 녹색건축물 인증을 위한 평가 항목과 기준을 규정한 문서로, 이를 통해 건축물의 친환경성과 지속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이 문서는 크게 전문분야와.. 더보기
[기초역학] 랭킨 사이클, 카르노 사이클 개념 및 비교 [기초역학] 랭킨사이클, 카르노 사이클 개념 및 비교오늘은 열역학의 가장 기초인 랭킨 사이클과, 카르노 사이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사실 기계공학도라면, 가장 기본이 되는 과목이 열역학 이지만, 저는 열역학이 너무나 실었습니다.ㅠㅠ아래의 내용으로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랭킨 사이클: 실용적인 발전 시스템랭킨 사이클은 증기 발전 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사이클로, 주로 물을 작동 유체로 사용합니다. 이 사이클은 실제로 구현 가능한 모델로, 네 가지 주요 단계로 구성됩니다: 1. 펌프 압축 (Pump Compression): 저압 상태의 물을 고압 상태로 압축합니다.2. 보일러 가열 (Boiler Heating): 고압의 물을 가열하여 증기로 변환합니다.3. 터빈 팽창 (Turbine Expa.. 더보기
건축물의 기계설비의 배관, 기기, 장비들에서 발생하는 이온화 부식(Galvanic) 1. 이온화 부식의 정의 및 원리이온화 부식(Ionization Corrosion) 또는 전기화학적 부식(Electrochemical Corrosion)은 금속이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이온으로 변환될 때 발생합니다. 이는 금속이 전해질(예: 물)과 접촉하면서 일어나며, 금속의 표면에서 전자 이동이 발생하여 금속이 산화되는 과정입니다. 기본적으로, 금속의 산화 반응이 전기화학적 셀을 형성하면서 금속이 부식됩니다.2. 이온화 부식의 발생 원인전위 차이: 서로 다른 금속이 접촉하면 전위 차이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철과 구리가 접촉하면 두 금속 간의 전위 차이로 인해 철이 부식됩니다.전해질의 존재: 전해질(예: 물, 염수)이 금속 표면과 접촉하면 전기화학적 반응이 촉진됩니다.산소: 용존 산소는 금속의 산.. 더보기
[공조냉동설비] 흡수식 냉동기 / 듀링선도 / 캐비테이션 / 인버터 흡수식 냉동기1. 흡수식 냉동기의 개념2. 흡수식 냉동기 개념도3. 듀링선도 이해4. 2중효융 흡수식 냉동기 개녕 및 듀링선도 이해5. 지역냉난방과 연계하여 활용법6.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캐비테이션1. 캐비테이션 개념2. 캐비테이션 발생원인3. 방지 방법4. 서징과 함께 설명 인버터1. 인버터의 개념2. 인버터 개념도- AC3상 -> AC-DC 컨버터 -> 평활부 : 직선 전류를 더욱 직선화 -> 인버터 DC-AC -> 3상 모터 더보기
[공조냉동설비] 흡수식냉동기 / 캐비테이션 / 인버터 / 외기냉수냉방 / DOAS [공조설비] 흡수식냉동기 / 캐비테이션 / 인버터 / 외기냉수냉방 / DOAS관련 내용 쉽게 정리해보았습니다.내용을 늘리는건 알고있는 지식의 활용으로 내용을 채워나가보도록 하겠습니다. 더보기
[냉동설비] 키워드 위주 정리 냉동기 COP개념냉동기의 성능을 표시하는 개수 $\frac{냉동효과}{압축일량}=\ 냉동기의\ 성적계수\ \left(이론)\right)$냉동효과압축일량​= 냉동기의 성적계수 (이론))​$\frac{응축기의\ 방출열량}{압축일량}=\ 열펌프의\ 성적계수(이론)$응축기의 방출열량압축일량​= 열펌프의 성적계수(이론)​2. COP의 향상방법증발압력을 감소시킨다.냉동효과를 크게 한다.과냉각도를 크게한다.Flash 가스를 줄인다. (※ Flash Gas : 냉매액이 증발기가 아닌곳에서 증발하는 Gas) - 플래시 가스 발생시 냉매순환량이 감소3. 증발압력이 낮을때 vs 높을때 증발온도가 낮으면, 냉동효과가가 작아진다. 증발온도가 낮으면, 압축비가 커진다. 증발온도가 낮으면, COP가 작아진다. 증발온도가 낮으면,.. 더보기